티스토리 뷰
목차
한국전자인증 범용인증서 발급 방법 및 사용처 총정리
사업을 하다 보면 꼭 필요한 것이 바로 범용 공동인증서인데요, 저도 처음에는 종류도 많고 발급 방법도 헷갈려서 한참을 검색했던 기억이 있어요. 특히 전자입찰이나 전자세금계산서 때문에 한국전자인증 범용인증서를 신청하게 됐는데, 막상 알고 보니 그렇게 어렵지 않더라고요. 오늘은 제가 직접 정리해 본 정보를 바탕으로, 이 인증서가 무엇인지, 어떻게 발급받는지, 어디에 쓸 수 있는지까지 전부 공유해드릴게요!
한국전자인증 개요
한국전자인증은 1999년에 설립된 인증 서비스 전문기관으로, 공동인증서, 전자서명, 생체인증, SSL 보안서버 인증서 등 다양한 분야의 인증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토스와 제휴를 맺고 인증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장했으며, 클라우드 기반의 인증 서비스인 ‘클라우드사인’을 통해 액티브X 없이도 전자서명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어요.
범용인증서 관련 정보
한국전자인증의 범용 공동인증서는 전자입찰, 전자세금계산서, 인터넷뱅킹, 민원 서비스 등 다양한 업무에 사용 가능해요. 기업용 패키지부터 개인용 단일 상품까지 다양한 선택지가 있고, 비대면 신청도 지원됩니다.
상품 유형 | 요금(VAT 별도) | 사용 대상 |
---|---|---|
개인 범용 (1년) | ₩4,000 | 개인, 일반 민원용 |
사업자 범용 (1년) | ₩110,000 |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
패키지 (1~3년) | ₩60,000 ~ ₩180,000 | 개인+사업자 패키지 |
범용인증서 사용처
범용 인증서는 전자서명용 인감처럼 모든 인증 절차에 사용이 가능해요. 다양한 플랫폼에서 다음과 같은 업무에 활용됩니다.
- 전자입찰 (나라장터, 조달청 등)
-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홈택스, 이세로 등)
- 인터넷뱅킹 및 금융 거래
- 전자계약 및 민원 서비스
- 온라인 증권거래, 인터넷 보험
인증서 발급 조건 및 비용
범용 인증서 발급에는 필수 서류가 필요해요. 특히 사업자 인증서는 사업자등록증명원과 계좌 정보 등이 요구됩니다. 개인 인증서도 본인 확인이 필수입니다.
구분 | 필요 서류 |
---|---|
개인 | 신분증, 개인 계좌 정보 |
개인사업자 | 신분증, 사업자등록증명원, 개인 계좌 정보 |
법인사업자 | 사업자등록증명원, 법인 등기부등본, 법인 계좌 정보 |
발급 및 갱신 절차
인증서는 방문 또는 비대면으로 발급받을 수 있어요. 갱신은 만료 60일 전부터 가능하고, 인증서가 저장된 매체가 필요합니다.
- 신청: 한국전자인증 홈페이지 또는 제휴 플랫폼에서 신청
- 서류 제출: 요구되는 서류를 업로드 또는 직접 제출
- 인증서 발급: 서류 확인 후 메일 또는 USB 등으로 전달
- 갱신: 유효기간 만료 60일 전부터 가능
- 재발급: 분실, 정보 변경 시 기존 절차대로 서류 제출 후 재발급
참고사항
- IE 브라우저 지원 종료로 크롬, 엣지 사용 권장
- 클라우드사인으로 액티브X 없이 사용 가능
- 토스, 카카오뱅크와 제휴된 인증 서비스 이용 가능
- 인증서 분실 시 반드시 재발급 신청 필요
자주 묻는 질문 (FAQ)
전자입찰, 전자세금계산서, 인터넷뱅킹, 민원 서비스 등 다양한 업무에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인증서입니다.
네, 개인도 발급이 가능하며 연 4,000원(VAT 별도)의 비용으로 다양한 전자거래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네, 본인 확인 및 사업자 인증을 위해 사업자 명의 계좌 정보가 필수로 요구됩니다.
일반적으로 1년이며, 유효기간 만료 60일 전부터 갱신 신청이 가능합니다.
네, 비대면 본인 확인을 통해 신청 가능하며, 신분증 인증과 계좌 인증 등 복수 절차를 거쳐 발급됩니다.
재발급 절차를 통해 다시 발급받을 수 있으며, 기존과 동일한 서류 제출이 필요합니다.
인증서 하나만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면 얼마나 편리할까요? 한국전자인증 범용인증서는 바로 그런 역할을 해줍니다. 실제 사용해보니 절차도 간단하고, 무엇보다 여러 플랫폼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게 정말 매력적이었어요. 이 글이 여러분의 선택에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궁금한 점은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